21세기 포스트포퓰리즘

정치적・경제적・사회적 특성, 미디어 이용, 포퓰리즘 성향의 영향구조

등록일2022-06-01

조회수174

도묘연, 2022, "정치적・경제적・사회적 특성, 미디어 이용, 포퓰리즘 성향의 영향구조,"  한국정당학회보  제21권 1호, 81~117쪽.

 

[요약]

 

이 연구의 목적은 정치적・경제적・사회적 특성과 미디어 이용 및 포퓰리즘 성향의 영향구조를 규명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연령・학력・소득・정치참여 방식・신뢰・정치효능감・이념이 미디어 이용과 반엘리트주의 및 반다원주의 성향에 미친 직접효과와 미디어 이용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를 분석하였다. 미디어는 TV 및 종이신문의 전통미디어와 인터넷 및 SNS 등의 뉴미디어로 구분했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첫째, 낮은 사회 신뢰와 보수적 이념이 반엘리트주의에, 그리고 높은 연령과 비투표활동 및 외적효능감이 반다원주의 성향에 미치는 직접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뉴미디어 이용이 반다원주의 성향에 미치는 직접효과도 확인되었다. 셋째, 미디어 이용의 매개효과 역시 검증되었다. 낮은 소득과 연령 및 비투표활동은 뉴미디어 이용을 경유하여 반다원주의 성향에, 그리고 높은 연령, 낮은 학력, 내적효능감, 비투표활동은 전통미디어와 뉴미디어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반다원주의 성향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특히 학력과 소득은 미디어 이용의 매개효과에 의해서만 반다원주의 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다.

 


[주제어]

 

포퓰리즘, 포퓰리즘 성향, 반엘리트주의, 반다원주의, 미디어 이용

 


[목차]

 

I. 문제 제기
II.  이론적 논의 및 기존 연구의 검토
   1. 이데올로기로서 포퓰리즘의 부정적 측면: 반엘리트주의와 반다원주의
   2. 포퓰리즘과 미디어의 친화성
   3. 기존 연구의 검토: 연구 가설의 설정
III. 연구 설계
   1. 반다원주의 및 반엘리트주의 성향의 유형화: 구성변수의 타당성 검증
   2. 연구 모형 설정
   3. 자료 수집과 분석 방법
IV. 실증 분석
   1. 분석 대상의 일반 특성
   2. 정치적・경제적・사회적 특성, 미디어 이용, 포퓰리즘 성향의 영향 구조
   3. 분석 결과의 종합 및 함의
V. 결론

 

 

2차년도_논문_도묘연_정치적·경제적·사회적_특성,_미디어_이용,_포퓰리즘_성향의_영향구조(한국정당학회보).pdf
go top
프로젝트 A프로젝트 A 프로젝트 B프로젝트 B 알림알림 지식상식지식상식